[소그룹] 637호 - 불처럼 퍼져나가는 초대교회적 공동체

조회수 60

불처럼 퍼져나가는 초대교회적 공동체 새로운 모임의 시작 약 300여년 전에 영어권 세계에 불처럼 퍼져나간 기독교 모임이 있습니다. 이 모임에 대해서 교회 역사가들은 혁신적이었다거나 신선한 교회론적 제안이라고 말하며 하나같이 이 모임이 새로웠다고 평가합니다. 당시 이 새로운 형태의 모임이 위험해 보이고, 교회의 질서를 어지럽힌다는 소수의 걱정도 있었으나, 대다수의 그리스도인에게는 매우 매력적인 모임이었습니다. 마치 새 술을 새 부대에 담듯, 이 모임은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는 새로운 모임과도 같습니다. 이처럼 시대를 흔든 모임은 바로 오늘날...

자세히 보기 →

[소그룹] 635호 - 함께 웃고 함께 우는 소그룹을 위한 배려의 영성

조회수 357

함께 웃고 함께 우는 소그룹을 위한 배려의 영성 ‘배려’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성품 진정한 그리스도인들의 공동체는 함께 웃고, 함께 우는 공동체입니다. 그러나 함께 울기 위해서는 단순히 타인의 고통을 느낀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한 영혼을 향한 목자의 심정을 가지고, 그 고통을 덜어주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실제 행동으로 옮길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성품 중 하나가 바로 ‘배려’입니다. 강준민 목사는 배려를 하나님의 마음이자 성품이라고 소개합니다. 우리의 소그룹에 꼭 필요한 배려를 우리는 훈련을 통해 길러져야 합니다. 배려를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세가지를 소개합니다. 배려와 양보 ...

자세히 보기 →

[소그룹] 633호 - 누구든지 환영받는 소그룹

조회수 413

누구든지 환영받는 소그룹 새순처럼 피어나는 관계 소그룹에 새로운 순원이 들어온다는 것은 마치 봄에 새싹이 돋아나듯 설레고 기쁜 일입니다. 새로운 순원을 통해 소그룹의 활력을 되찾을 수 있고, 그의 신앙이 성장하는 것을 보며 믿음의 여정에 대해 새로운 통찰을 얻게 됩니다. 또한 끊임없이 영적 재생산을 향해 달려가야 하는 교회 공동체에, 새로운 순원이 들어왔다는 것은, 우리 공동체가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점점 예배는 드리지만, 소그룹 모임에 참석하지 않는 성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들은 시간이 없거나, 구속 받고 싶지 않아서, 그리고 소그룹과 신앙에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고 느끼기 때문에 참여하지 않습니다...

자세히 보기 →

[개요] 108기 제자훈련 체험학교

조회수 873

47년간 사랑의교회 현장에서 축적된 제자훈련 노하우 전수의 산실 39년간 제자훈련 목회를 접목해온 수많은 형제교회들의 길잡이 NEW 개인별 영상분석을 통한 맞춤형 컨설팅 체험학교를 위한 도전적 질문 제자훈련은 잘 가르치면 된다? 제자훈련은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일방향 커뮤니케이션으로도 가능하다? 제자훈련은 12명도 안 되는 사람 붙잡아놓고 2년이나 씨름 하는 비효율적 사역이다? ...

자세히 보기 →

[소그룹] 631호 - 빛 가운데로 이끄는 안전한 공동체를 향하여

조회수 562

빛 가운데로 이끄는 안전한 공동체를 향하여 삶을 바로잡을 용기 여러 가지 이유로 나는 도저히 할 수 없다고 생각하게 되는 순간이 있습니다. 비교를 멈출 수 없고, 기쁨을 느낄 수 없고, 만족할 수 없고, 불안을 멈출 수 없는 순간이 찾아오곤 합니다. 도저히 혼자서는 이겨낼 수 없을 것 같은 이러한 때에 우리는 하나님께서는 모든 것을 하실 수 있다는 믿음을 가져야 합니다. 그리고 하나님께 모든 것을 맡기기로 결단해야 합니다. 하나님께 모든 것을 내어드리고 맡기기로 다짐하는 그 순간을 함께 나눌 이들이 있다면, 우리의 회복은 훨씬 더 큰 힘을 얻을 수 있습니다. 소그룹은 바로 그런 순간에 피난처와 같은 안전한 공간이 되어야 합니다. 유명한 저자이자 설교자이...

자세히 보기 →

[소그룹] 629호 - 기다림은 낭비가 아니다, 함께라면 더욱 그렇다

조회수 858

기다림은 낭비가 아니다, 함께라면 더욱 그렇다 기다림은 낭비가 아니다 ‘빨리빨리’ 문화에 익숙한 우리는 기다리는 일을 힘들어합니다. 인생의 공백과도 같이 느껴지는 기다림을 좋아하는 사람을 찾기란 쉽지 않습니다. 빨라진 현대사회는 더 이상 기다림을 가치 있게 여기지 않습니다. 우리는 삶을 낭비하지 않기 위해 기다림을 최대한 기피하며 살아갑니다. 미국 인디애나주 칼리지파크교회를 담임하고 있는 마크 브로갑(Mark Vroegop) 목사는 라는 저서에서 기다림이란 누군가를 고대하는 것이라 설명합니다. 이제는 낭비라 여겨지는 기다림의 과정 가운데 소그룹은 어떤 역할을 같이 감당할 수 있는지 마크 브로갑 목사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기다림은 소망이다 “기다...

자세히 보기 →

[소그룹] 627호 - 소외되지 않는 공동체를 만들기 위하여

조회수 1075

소외되지 않는 공동체를 만들기 위하여 소그룹의 핵심적인 역할은 그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공동체의 역할을 감당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소그룹 리더는 구성원들이 꾸준히 출석할 수 있도록 돕는 한편, 모든 구성원이 대화에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소그룹의 출석률을 높이고, 대화를 공평하게 나누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헌신과 출석 명확한 목표 설정 소그룹의 목표가 무엇인지 명확히 제시해야 합니다. 소그룹이 정기적으로 만나는 이유가 무엇인지 구성원들이 각자 스스로 판단하게 되면 서로 기대치가 달라집니다. 스스로가 정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마음이 멀어지고 출석률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소그룹이 처음 모이는 그 순간에...

자세히 보기 →

[개요] 17기 『생명의 공동체를 세우는 40일, 우리가 교회입니다』 온라인 세미나

Under 양육체계 조회수 1772

"회복을 넘어 부흥으로 넘어가며, 공동체에 생명을 불어넣기 위해 여러분은 무엇을 준비하고 계십니까?" 코로나 팬데믹은 우리 교회가 얼마나 교회의 본질에 충실해 왔는지, 우리 교회 성도들이 얼마나 온전한 제자로 무장된 삶을 준비해 왔는지 여실히 드러내 주었습니다. 코로나 펜데믹이 불러온 뉴노멀은 사회 전반과 목회 전반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지금 한국 교회는 다음세대 인구 감소와 반기독교적인 사회 분위기가 득세하는 우호적이지 않은 목회환경 가운데 봉착했습니다. 이럴 때 일수록 공동체에 역동성과 생명력을 불어넣어 주고, 성도들이 복음으로 삶을 체질화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합니다. 모든 교회가 회복을 넘어 부흥으로 나아가며, 공동체에 생명을 불어...

자세히 보기 →

[소그룹] 617호 - 소그룹 사역, 점검해야 할 것과 피해야 할 것

조회수 1634

많은 교회가 제자훈련, 교제(친교), 양육을 위해 소그룹을 운영합니다. 소그룹 모임은 교회 안에서 성도들이 서로를 알아가고, 격려하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중요한 사역입니다. 그렇다면, 소그룹 사역에 관하여 점검해야 할 것과 피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Q. 소그룹은 성경에서 명령받아 있는가? 간단히 말하면, "아니오!"입니다. 소그룹 자체는 성경에서 명령받아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성경은 우리가 서로를 사랑하고, 섬기고, 격려하라고 가르칩니다. 이러한 가르침을 실천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소그룹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성경에서 다음과 같은 말씀을 볼 수 있습니다. “서로 사랑하라.”(요한복음 13:34) “서로 섬기라.”(마태복...

자세히 보기 →

[소그룹] 614호 - 큰 산불로 이어질 수 있는 작은 불씨

조회수 1906

산불의 주된 원인 중 하나는 폐기된 생수병이라고 합니다. 무단 폐기된 생수병 안에 물이 남아 있으면, 햇빛이 그 남아있는 물을 통과하며 마른 나뭇잎을 오랜 시간 내리쬘 경우, 마치 돋보기로 햇빛을 모았을 때 불씨가 일어나는 것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되어 불이 날 수 있다고 합니다.  겉보기에는 너무나도 큰 위험의 요소로 보여지지 않으며 일상에서 자주 보이는 사소한 요소가 오랜 기간 방치가 될 경우 산불이라는 큰 문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속한 소그룹에도 이런 생수병과 같은 문제 요소들이 있습니다. 오랜 기간 방치되면 걷잡을 수 없는 산불과 같이 큰 위험으로 이어지는 문제의 요소들은 무엇이며 막을 수 ...

자세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