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양육체계

목록보기 Under 양육체계 조회수 12531

그리스도인의 삶의 5%는 결신에, 나머지 95%는 양육에 달려있습니다

제자훈련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종종 목회 컨설팅을 하다 보면, 신앙의 기초를 다지는 양육 과정 없이 바로 제자훈련을 시작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를 보게 됩니다. 양육이 필요한 성도가 제자훈련반에 참여하면서 본인도, 인도자도 부담을 느끼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이렇듯 혼란이 발생하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양육’과 ‘제자훈련’의 개념이 분명히 정립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한국 교회에서는 양육과 훈련이라는 용어를 혼용해 왔기 때문에, 양육을 곧 제자훈련으로, 또는 제자훈련을 소그룹 성경 공부의 또 다른 형태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따라서 제자훈련을 시작하려는 교회라면 먼저 양육과 제자훈련의 목적과 범위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습니다. 양육과 제자훈련을 분리해 이해함으로써, 그룹을 구성하거나 인도할 때 각 과정의 목표에 맞는 커리큘럼을 적용할 수 있고, 양육이 필요한 사람이 잘못된 과정에 참여하거나 제자훈련이 또 하나의 일반 양육 프로그램으로 전락하는 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훈련과 양육

넓은 의미에서 제자훈련이라고 하면 예수 그리스도를 닮고 예수님처럼 살도록 돕는 모든 과정을 말합니다. 제자훈련의 목표는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에 이르는 것입니다(엡4:13). 즉 성숙입니다. 성경은 우리의 신앙생활에 어린아이와 같은 수준이 있고 청·장년의 수준이 있다고 말합니다. 어린아이는 젖이나 먹게 마련이지만 장성한 자들은 단단한 음식을 먹고 소화시킬 수 있습니다(히5:12-14). 영적으로 장성한 사람은 스스로 선악을 분별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우리는 초보의 수준을 버리고 완전한 데 나아가도록 부름을 받았습니다(히6:1-2). 또한 우리 주 곧 구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와 저를 아는 지식에서 자라가라고 명령받았습니다(벧후3:18). 장성한 자의 모습은 골로새서 2:7에서 나무에 비유되어지고 있습니다. "그 안에 뿌리를 박으며 세움을 입어 교훈을 받은대로 믿음에 굳게 서서 감사함을 넘치게 하라." 이렇게 이해할 때 훈련과 양육은 분명히 공통분모가 있고 서로가 서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협의적인 의미에서 볼 때 제자훈련이란 영적으로 강건하여 다른 사람들을 돕고 섬길 수 있는 지도자로 세워져가는 고급과정이라고 정의를 내릴 수 있습니다. 반면에 양육이란 영적으로 어린아이가 성장하여 단단한 음식을 먹을 수 있는 자리에까지 갈 수 있도록 돕는 초보적인 모든 과정을 말합니다. 이렇게 양육을 정의하게되면 양육에서는 돌봄이라는 요소가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양육의 단계에서는 갓 태어난 어린아이를 돌보는 어머니처럼 세심한 돌봄의 손길이 필요합니다. 양육은 신앙적으로 어린 그리스도인들의 균형잡힌 성숙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고 훈련은 어느 정도 갖추어진 사람들을 지도자로 세워가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때문에 양육이라는 말은 쉽고 편안하게 느껴지는 반면 훈련은 우리에게 상당히 부담스럽게 여겨지는 것입니다.

양육은 본격적인 제자훈련에 들어가기 전 반드시 거쳐야 할 준비 과정입니다. 성숙한 훈련을 위해서는 먼저 신앙의 기초를 다지는 양육을 통해 영적 토대를 마련해야 하며, 이 과정을 생략한 채 제자훈련을 무리하게 진행할 경우 훈련 자체가 흔들릴 위험이 있습니다. 제자훈련을 강조할수록 오히려 양육의 중요성을 더욱 크게 인식하고, 양육을 든든히 세운 뒤에야 건강한 제자훈련이 가능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이 단계는 개인의 성장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1~2년 정도 소요되는 과정입니다.

Tags : 양육